보건증 편하게 집에서 온라인으로 무료 발급받자. |
식품을 취급하는 업종에서 일한다면 보건증은 필수!
보건증이 없을 경우 사업주와 근로자 모두에게 최소 10만 원 이상의 과태료가 부과되니 미리 검사해서 꼭 발급받길 바란다.

보건증(건강진단결과서)
우리가 흔히 이야기하는 보건증의 정식 이름은 '건강진단결과서'이다.
보건증은 가까운 보건소나 병원에서 검사 후 발급받을 수 있다.
보건증 발급은 다시 보건소를 방문하지 않아도 집에서 온라인으로 공공보건포털을 통해서 발급(재발급)이 가능하다.
보건증 만료일
그런데 생각보다 1년이 금방 지나간다.
잘못하면 만료 날짜가 바로 내일일 수 있으니 바로 확인해보자.
보건증 만료일의 기준은 '검진일'이다.
보건증 출력(발급)받은 날이 아니니 잘 확인하자.
보건증 검사를 받은 날로부터 1년 혹은 6개월이다.
보건증 검사(준비물)
보건증을 검사할 땐 신분증과 검사비용(2천원 내 외)을 꼭 준비해서 가야 한다.
보건소에 가서 보건증 검사를 하러 왔다고 이야기하면 안내해준다.
1. 먼저 신분증을 제시하고 금액을 결제한다.
2. 안내에 따라 검사를 받으면 된다.
3. 몇 가지 검사를 받고 바로 집으로 가면 된다. 다른건 할 게 없다.
보건소와 병원 차이점
발급일 | 금액 | |
보건소 | 검사 후 5일 | 2천원 내외 |
일반 병원 | 즉시 | 1만 원 이상 |
보건소에서 검사 후 5일 뒤에 보건증 발급(출력)이 가능하다.
보건소에 직접 방문해서 받을 수 있고, 집이나 회사에서 온라인으로 편하게 출력할 수 있다. 무료다.
일반 병원에서도 보건증 검사가 가능하지만 가격이 1만 원 이상으로 매우 비싸다.
일반 병원에서 검사할 때 장점은 보건증 발급이 당일도 가능하다(병원마다 당일 발급이 안되는 곳도 있으니 꼭 확인하자).
보건증 만료일이 며칠 안남았다면 병원에서 하는 수 밖에 없다.
보건소에서 보건증을 새로 발급받으려면 최소 5일이 걸리기 때문에 미리 하는게 돈도 절약하고 좋다.
보건증 온라인 발급
보건증 온라인으로 발급받는 방법 잘 보고 하나하나 따라하면 아주 쉽다.
Step 1. 본인 인증 하기



Step 2. 온라인 발급 가능한 목록 확인하기

Step 3. 증명서 발급 신청 및 파일 다운로드


※ 주민등록번호 뒷자리는 표시하지 않아도 상관 없으니 표시안함으로 출력하면 된다.